[뉴스특보] 김정은 건강이상설…각국 예의주시<br /><br /><br />어제 오전이었죠.<br /><br />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이상설이 외신보도를 통해 제기되면서 한반도를 둘러싼 주요국가들이 북한의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우리 정부는 "특이 동향이 없다"고 밝혔지만, 미세한 파장은 계속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김정은 위원장의 건강이상설이 제기된 배경은 무엇인지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와 함께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김정은 위원장의 건강이상설에 어제 하루동안 그야말로 전 세계가 들썩였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것 같습니다. 일단, 교수님은 어제 CNN의 보도 어떻게 보셨습니까?<br /><br /> 어제 하루내 미국 내 언론들도 혼선을 빚었습니다. 한쪽에선 "김정은 위원장이 정상생활을 못 할 수도 있다"는 보도까지한 반면, 또 한쪽에선 "증거가 없다"며 경고하기도 했는데요. 그만큼 미국이 북한 정보파악이 제대로 안 되고 있단 지적도 나오는데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앞으로의 북미 관계가 어떻게 전개될지도 좀 짚어봐야 할 것 같은데요. 앞서 친서에 대한 입장도 엇갈린 데다,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 이상설과 관련해서, "우리는 모른다"고 말했는데요. 앞으로의 북미 관계, 어떻게 전개될 거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그런데 최근 김정은 위원장에 대한 건강이상설이 제기되기 시작한 건, 지난 15일 태양절 행사에 불참했기 때문이기도 한데요. 할아버지인 김일성의 생일에 참배를 하지 않은 건 매우 이례적인 일이긴 했던 거죠?<br /><br /> 일단 우리 정부에 이어 각국 정부가 특이 동향이 파악되지 않았다고 밝히면서 중태설은 일단락되는 분위기이긴 합니다만, 일각에선 시술을 한 건 맞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 이에 대해선 어떻게 보시는지요?<br /><br /> 그런데 이런 가운데 일본 언론이 "북한이 긴급시 김여정 최고지도자 권한 대행을 준비 중"이란 보도를 했습니다. 최근 김여정의 활동폭이 커졌던 만큼, 해당 보도가 주목받고 있는데요. 이 보도에 대한 신뢰도는 어느 정도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실제로 여러 대북 전문가들이 김정은 유고시 김여정이 후계자 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는데요. 이에 대해 교수님은 어떤 입장이신지요?<br /><br /> 이처럼 김정은 위원장의 건강이상설이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됐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이렇다 할 공식적 반응은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. 그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